본문 바로가기

Study/회계5

손익거래 VS 혼합거래 손익거래와 혼합거래가 헷갈리시나요?! 저도 헷갈렸습니다. 그래서 알아보다 보니, 이제 확실히 알았습니다. 손익거래란? 대변과 차변 중, 한 쪽만이라도 수익or비용 계정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거래를 뜻합니다. 혼합거래란? 두 개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. 1. 대변과 차변 중, 한 쪽만이라도 두 개 이상의 항목이 들어가야 하고, 2. 그런데, 그 두 개 이상의 항목이 들어가는 변에 수익or비용 계정이 하나는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설명하다 보니 명료하게 정리가 되는군요?! 어렵게 말할 것 없이, 혼합거래란! 한 변(차변 또는 대변)에 두 개 이상의 항목이 들어가며, 그 변은 수익or비용계정 + 자산or부채or자본계정의 혼합이어야 한다. 2023. 7. 19.
예수금이란? 예수금이란 일시적으로 맡아서 나중에 지급해야 할 돈(=부채) 를 뜻합니다. ex) 급여 지급 시 원천징수한 국민연금 등 일반적 상거래 이외에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부채로, 유동부채에 속합니다. 2023. 7. 18.
단기매매증권 취득시 매입수수료는 취득원가에 포함하지 않는다. 단기매매증권이란? 기업 경영자가 1년 이내 매각할 목적(=단기)으로 분류한 증권입니다. 회계기준에 따라 이런 증권은 시장가격으로 평가해 장부에 반영해야 합니다.(값이 떨어지면 1년 이내에 손실이 확정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.) 단기매매증권 취득 시 매입수수료는 취득원가에 포함하지 않고 수수료비용으로 처리합니다. 그런데 매도가능증권은 수수료를 취득금액에 포함한다고 합니다. 주의하시길 바랍니다. 2023. 7. 18.
동점발행 당좌수표와 당점발행 당좌수표의 차이 정답은 2번. 차 : 당좌예금 / 대 : 외상매출금 3번이 아닌 이유: 거래처가 발행한 당좌수표를 받았다고 하잖음. 거래처가 발행한 당좌수표는 언제든지 현금으로 바꿀 수 있기에 현금임. 본점 발행 당좌수표(당점 발행 당좌수표)는 당좌예금 맞음. 동점발행 당좌수표 = 타인발행 = 현금 여기서 동점은, "같을 동" 이라는 뜻입니다. 예를 들어 B상사에 상품을 팔았다. 동점이 발행한 당좌수표를 받았다. 하면 여기서 동점은 "B상사" 라는 뜻임. 현금으로 처리. 당점발행 당좌수표 = 본점(본인이,내가)발행 = 당좌예금 내가 발행한 당좌수표라는 뜻임. 내 통장에서 나간 돈. "당좌예금" 으로 처리. 당좌수표 받으면 현금 당좌수표 주면 당좌예금 쉽게 외우려면 동현당당이라고 외우세요! 2023. 7. 18.